top of page

다살이생물자원연구소
DASARI Research Institute of BioResources, Inc.


총채벌레목(Thysanoptera)
총채벌레목은 몸 크기가 0.5~10mm인 매우 소형의 곤충이다. 꽃이나 잎에서 주로 서식을 하며, 낙엽이나 죽은 통나무 속에서 미생물을 먹고 자라기도 하고, 작은 곤충들을 먹이로 삼는 포식성인 것도 있다. 날개는 날기에 적합하지 않은 모양을...


노린재목(Hemiptera)
장구애비 노린재목_물장군 노린재목은 소형부터 대형까지 그 종류가 다양하다. 몸은 납작하고 타원형, 둥근형, 긴형 등 다양하며, 입은 찌르고 빨아먹는 형태이다. 눈은 매우 잘 발달되어 있으며, 홑눈은 2개이거나 없는 것도 있다. 더듬이는 대체로...


이목(Phthiraptera)
이목은 모두 외부기생성인 흡혈곤충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이나 가축 등의 포유류에 기생하여 피해를 주며, 일부는 전염병을 매개하는 위생 해충이다. 몸은 일반적으로 미소하거나 소형으로 몸길이 0.5~6mm로 납작하다. 다리는 굵고 발톱이 잘 발달되어...


다듬이벌레목(Psocoptera)
다듬이벌레목은 매우 소형이며, 연약한 분류군으로 국내에는 약 12종이 알려져 있다. 몸길이 6mm 미만의 곤충으로 날개가 있는 것, 짧은 것, 없는 것이 있다. 쉴 때는 날개를 배 위의 지붕 모양으로 놓는다. 더듬이는 대개 길며, 발목마디는...


강도래목(Plecoptera)
OLYMPUS DIGITAL CAMERA 강도래목은 매우 청정지역에서 서식하는 분류군으로 분류학적으로는 유시아강의 외시류에 속한다. 성충은 앉은 자세에서는 날개를 평면으로 접는 것이 특징이고 2개의 발톱과 1쌍의 미모를 갖는다. 일반적인 유충은...
흰개미붙이목(Embioptera)
흰개미붙이목은 매우 작은 분류군으로 국내에는 1종(흰개미붙이 Oligotoma saundersii)만 보고되고 있다. 크기는 소형으로 외부형태는 흰개미와 많이 닮았다. 머리가 앞가슴보다 크고 입은 씹어 먹기 쉬운 저작형으로 나타난다. 암컷과...


집게벌레목(Dermaptera)
큰집게벌레 고마로브집게벌레 집게벌레목의 몸은 대체로 길고 편평하다. 국내에는 약 20여종이 분포하고 있는 걸로 알려져 있으며, 머리는 거의 삼각형에 가깝지만 오각형의 모양인 것도 있다. 입은 저작에 적합하며, 더듬이는 일반적으로 실 모양으로...


바퀴목(Dictyoptera)
집바퀴 산바퀴 바퀴목은 전체적으로 기름을 바른 것 같은 광택이 있으며, 편평하고 몸길이는 약 1 cm의 소형부터 대형까지 다양하다. 국내에는 3과 10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색깔은 일반적으로 갈색 또는 흑갈색이며, 담녹색 또는 금속 녹색인 것도...


대벌레목(Phasmatodea)
대벌레 대벌레목은 몸 길이가 약 10cm로 가늘고 길며, 대나무와 같은 형태를 하고있어 불려진 이름이다. 우리나라의 곤충 중 대형종에 속한다. 머리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원형에 가깝다. 더듬이는 실모양 또는 털모양으로 나타난다. 겹눈은...


메뚜기목(Orthoptera)
팥중이 땅강아지 메뚜리목은 우리에게 친근한 곤충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는 약 160여종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메뚜기, 여치, 귀뚜라미, 땅강아지라고 불리는 종류를 통틀어 메뚜기목이라고 한다. 머리는 하구식이나 일부는 전구식으로 되어...
귀뚜라미붙이목(Grylloblattodea)
귀뚜라미붙이목은 유충은 유백색이며, 성충은 다갈색 또는 담갈색으로 주로 나타난다. 더듬이는 긴 채찍 모양이고 입틀은 앞쪽을 향하고 있는 저작형이며, 큰턱이 발달되어 있다. 날개 기관은 퇴화되어 흔적조차 없다. 다리는 튼튼한 모양이며 같다....


벌목(Hymenoptera)
벌목은 몸길이 1mm 이하의 좀벌과 70mm가 넘는 대모벌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개미 이외에도 암컷에 날개가 없는 벌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막질로 된 4개의 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6개의 다리가 있다. 입틀은 물고 핥고 빨아먹는 데 적합한...


나비목(Lepidoptera)
나비목은 곤충 중에서 두 번째로 큰 목(Order)으로, 나비와 나방으로 나뉘어져 나타난다. 나비는 몸이 가늘고 원통형이며, 끝이 부푼 더듬이가 있고, 뒷날개 앞부분의 기부가 넓어지며 날개가시라고 불리우는 가시가 없다. 또한 몸이 가늘고 복부가...


날도래목(Trichoptera)
굴뚝날도래 성충 굴뚝 날도래목은 유시아강에 속하는 외시류의 분류군이다. 성충의 더듬이는 긴 실 모양이고 큰턱은 퇴화되었다. 작은턱수염과 아랫입술수염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2쌍의 날개는 털로 덮여 있다. 앉아 있을 때는 날개를 지붕 모양으로 접는...


파리목(Diptera)
쉬파리 각다귀 파리목은 국내에 가장 많은 분류군을 차지하고 있으며, 연구자가 부족한 분류군이다. 파리목은 유시아강에 속하며 다른 종류들에 비하여 1쌍의 날개만을 가지고 있다. 앞날개에 비해 뒷날개는 퇴화 되어 평행곤으로 변형되어 있으며, 몸의...


밑들이목(Mecoptera)
밑들이목은 국내에 약 11종이 알려져 있으며, 성충의 체형은 가늘고 중형의 크기로 실모양의 긴 더듬이를 가지고 있다. 겹눈은 잘 발달되어 있으며, 대부분은 3개의 홑눈을 가지고 있다. 머리는 이마방패, 아랫입술, 작은턱이 합쳐져 있는 형태를...
벼룩목(Siphonaptera)
벼룩목은 국내에 약 40종이 알려져 있으며, 소형이고 무시류의 곤충이다. 입틀은 2쌍의 촉수로 형성되며, 흡수형이다. 더듬이는 짧고, 뭉툭하며 움푹한 홈에 들어가 있으며, 기부의 2마디는 크게 나타난다. 겹눈은 없고 홑눈은 2개 이다. 뒷다리는...
부채벌레목(Strepsiptera)
부채벌레목은 국내에 1과 1종(수염부채벌레)만 보고되고 있으며, 구기는 퇴화되어 있고 촉각은 뚜렷하게 나타난다. 암컷은 기생성이고 주로 고치에 쌓여 있다. 매우 작은 목(Order)으로 대부분이 노린재목(Hemiptera)과...


딱정벌레목(Coleoptera)
왕소똥구리 꼬마목가는먼지벌레 딱정벌레목은 국내에 약 4,300여종 알려져 있으며, 유시아강의 외시류에 속하는 독립된 분류군이다. 주로 성충의 몸은 경화되어 있고, 막질부는 거의 없으며, 겹눈은 있으나 홑눈은 대부분 갖고 있지 않다. 더듬이는 주로...


약대벌레목(Raphidoptera)
약대벌레 유충 약대벌레목은 뱀잠자리와 비슷한 형태이며, 뒷머리가 길게 뻗어있어 구별가능하다. 국내에는 1과 1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입틀은 씹는 형이며, 더듬이는 길다. 겹눈은 돌출되어 나타나며, 홑눈은 과(family)에 따라서 없는것도 있고...


뱀잠자리목(Megaloptera)
성충 노란뱀잠자리 뱀잠자리목은 국내에 약 8종이 알려져 있으며, 유시아강에 속하는 내시류의 분류군이다. 유충은 유량이 풍부한 하천 및 습지에 서식하며, 성충은 비행성이 좋아 높은 고도까지 올라가 서식한다. 몸집이 큰...


풀잠자리목(Neuroptera)
풀잠자리목은 성충은 육지에서 생활하며, 유충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육지에서 생활하며 포식성이다. 날카로운 큰턱을 가지고 찔러서 체액을 빨아먹는다. 성충의 입틀은 저작형이고, 배는 10마디로 되어있다. 날개는 막질이고 쉴 때는 지붕 모양으로...


잠자리목(Odonata)
유충 배치레잠자리 잠자리목은 날개를 가지고 변태를 하는 유시류이며, 불완전변태를 하는 외시류에 속한다. 국내에는 약 122종이 알려져 있으며, 잠자리아목과 실잠자리아목으로 나뉘어져있다. 날개의 시맥이 많고 복잡한 것이 특징이며, 성충과 유충은...


하루살이목(Epemeroptera)
성충 유충 하루살이는 우리나라 말로 매우 짧은 생활사를 가지고 있어서 하루살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국내에는 약 80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성충보다는 유충의 형태적 특징으로 구별하고 있다. 성충은 연약한 몸을 가지고 있다. 날개모양은 뒷날개를...


돌좀목(Archaeognatha)
돌좀_drawing 돌좀 납작돌좀 돌좀목은 몸이 원통형이며, 주로 황갈색 바탕에 암갈색 얼룩무늬가 있다. 몸길이는 약 10-15mm이고, 몸은 비늘로 덮여 있어서 빛을 받으면 광택이 난다. 겹눈은 크고 서로 가까이 위치하고, 아랫입술수염이 몸의...


좀목(Thysanura)
우리나라에서는 1과 1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유충과 성충의 생김새가 비슷하다. 일반적으로 겹눈은 작으며, 멀리 떨어져 있거나 없는 종도 있다. 발목마디는 3-5마디이며, 배(abdomen)는 11마디이다. 배마디 11마디 부분은 매우 축소되어...
bottom of page